오 승 환
吳 承 桓
Seung-Hwan OH
오승환 글
필름의 물성(物性)을 유기물질과 상호 작용시켜 이들의 생화학적 반응을 관찰하고 그 과정을 개념화해 사진매체로 시각화한다.
사람들의 다양한 표정이나 동작을 촬영한 필름을 현상한 뒤 곰팡이 균이 발생할 수 있는 적절한 환경을 만들어준다. 현상된 필름 표면에 균을 배양하고 수년에 걸쳐 관찰하다 보면 곰팡이가 필름의 감광물질을 자기증식을 위한 에너지원으로 부패시켜 소모하는 과정을 보게 된다. 말하자면, 미생물이 필름의 화학물질(젤라틴)을 먹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긴 과정을 거치는 동안 곰팡이 균들은 인물사진위에 자취를 남긴다.
반복적인 패턴이 만들어져 있기도 하고, 불규칙한 선, 점들이 나타나 있기도 하며, 감광물질을 화려한 색들로 분해해 놓기도 한다. 여기서 아주 적은 확률로 적절하게 손상된 인물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반면, 건조시키지 않고 필름을 이러한 물질변환과정 상태로 유지시킬 경우 필름위에 이미지는 거의 해체돼 흩어져버리고 빈 공간만 남게 된다.
이처럼 물질의 생화학적 현상을 필름사진에 적용시켜 사진의 개념적 표현방식을 통해 생명을 포함한 물질의 비영구(非永久)적 속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Impermanence Series’ focuses on implementing microbial growth on film as a means to explore the impermanence of matter as well as the material limitation of photography.
The film's physical properties interacted with organic materials to observe their biochemical reactions, and the process was conceptualized and visualized as a photographic medium.
After developing a film that captures various expressions and movements of people, it creates an appropriate environment for mold growth. After culturing mold on the surface of the developed film and observing it for a year or more, you can see the process of the fungus decaying and consuming the gelatin of the film as an energy source for self-renewal. During this long process, fungi leave traces on the image.
Repeating patterns are made, irregular lines and dots appear, and light-sensitive chemicals are broken down into colorful colors. Here, it is possible to obtain a properly damaged portrait image with an extremely low probability. On the other hand, if the film is kept in this state of material transformation without drying, the image on the film is almost disassembled and scattered, leaving only empty space.
By applying such biochemical phenomena of materials to film photography, it was intended to visually express the impermanence of matter including life, through the conceptual expression method of photography.